2025. 7. 3(Thu) - 4(Fri)
송도 컨벤시아
기조연설
11:00 ~ 11:50
제러미 리프킨
이사장
워싱턴 경제동향연구재단(FOET)
세션 1
해운·물류 | 13:30 ~ 15:00
스마트한 해운·물류, 탄력적 글로벌 공급망
좌장
송상화
원장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발표자
퀸 타이 레
본부장
S&P 글로벌 마켓 인텔리전스 아시아태평양 전략 분석 컨설팅
발표자
아담 소베이
총괄/교수
앨런 튜링 연구소 지속가능성 전략,
사우샘프턴 대학교 데이터 중심 공학
발표자
박진규
대표/부교수
오믈렛, 카이스트 산업 및 시스템공학과
세션 2
해양환경과 기후 | 13:30 ~ 15:00
북극 해상로 개척과 블루카본을 통한 지속가능한 해양산업
좌장
이기택
교수
포항공과대학교 환경공학부
발표자
신형철
소장
극지연구소
발표자
김주형
교수
국립군산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
발표자
윤호성
교수
경북대학교 생물학과
세션 3
해양에너지 | 15:30 ~ 17:00
해양에너지 디지털 전환과 지역 해양산업 생태계 활성화
좌장
우승범
교수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발표자
젠중 거
교수
화둥사범대학교 연안 및 하구 연구 국가핵심실험실
발표자
소렌 길룬
총괄
오스테드 코리아 프로젝트 개발
특별세션
15:30 ~ 17:00
도시의 글로벌 경쟁력과 도쿄 대진화 그리고 인천
발표자
박희윤
개발본부장/전무
HDC 현대산업개발
세션 4
해양관광 | 10:00 ~ 12:00
해양의 미래 성장동력, 동북아 협력을 통한 크루즈 산업의 확장
좌장
임복순
원장
(사)한국국제크루즈연구원
발표자
지난 리우
회장
로얄 캐리비안 크루즈 아시아
발표자
마이클 고
회장
스타드림크루즈
발표자
히로히토 이토
소장/총괄이사
센트럴 컨설턴트 크루즈 연구소 및 디지털 전환
발표자
강여진
실장
인천항만공사 여객사업실
세션 5
스마트 항만 | 10:00 ~ 11:30
글로벌 공급망 위기에 대응하는 인공지능 항만
좌장/발표자
이철웅
교수
고려대학교 산업경영공학부
발표자
고 푸아이 관
부교수
싱가포르국립대학교 경영대학 운영분석학과
발표자
후 지화
교수
상해해사대학교 물류연구센터
토론자
문일경
교수
서울대학교 산업공학과
토론자
장영태
명예교수
인하대학교 아태물류학부
토론자
이성우
선임연구위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해운물류‧해사연구본부
송상화
원장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2023년 ~ 현재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원장
2020년 ~ 현재 인천대학교 4단계BK21사업팀 팀장
네이버, 포스코DX 등 유통, 물류, SCM 분야 기업 자문 교수
송상화 교수는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의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IBM에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및 컨설턴트로 근무했다.
주요 연구분야는 물류 및 공급망 관리를 포함한 비즈니스의 디지털 전환이며, 수리적 최적화, 기계 학습, 데이터 분석 및 디지털 변환을 위한 전략적 프레임 워크 등의 활용에 집중하고 있다.
인천항만공사, 한국지역난방공사, 현대엠엔소프트,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한국도로공사, 해양수산개발원, SK, 현대제철 등과 산학 협력 과제를 수행하였다.
네이버, CJ대한통운, KOTRA, 현대제철, 홈플러스 등 민간 기업 자문 교수, 국토교통부 물류정책위원회 정책분과 위원, 국가모빌리티혁신포럼 물류분과위원 등을 맡은 바 있다.
2020년부터 "인공 지능과 디지털 플랫폼을 통한 크로스보더 유통 및 물류 혁신 리더 양성"이라는 주제로 교육부가 지원하는 4단계 BK21 사업팀을 이끌고 있다.
이기택
교수
포항공과대학교 환경공학부
마이애미대학교 해양대기과학대학원(RSMAS), 미국 플로리다주 마이애미 화학해양학 박사 (Ph.D.), 1992–1996 지도교수: Frank J. Millero 교수
논문 제목: Studies of the carbonate system in the oceans (해양 탄산염계에 대한 연구), 총 253페이지
사우스플로리다대학교, 미국 플로리다주 세인트피터즈버그 화학해양학 석사 (M.S.), 1988–1991 지도교수: William M. Sackett 교수
논문 제목: The high temperature titration of amorphous silica (비정질 실리카의 고온 적정), 총 62페이지
충남대학교, 대한민국 해양학 학사 (B.S.), 1982–1986
포항공과대학교 환경공학부 조교수, 부교수, 정교수, 2001년 8월 1일 ~ 현재
미국 국립해양대기청(NOAA)/ 대서양해양기후연구소(AOML) / 마이애미 CIMAS 연구원(Assistant Scientist), 1998년 10월 ~ 2001년 7월
NOAA/AOML/CIMAS 박사후연구원, 1997년 6월 ~ 1998년 9월 (지도자: Dr. Rik Wanninkhof)
마이애미대학교 RSMAS, 화학해양학 박사후연구원, 1996년 9월 ~ 1997년 5월 (지도자: Frank J. Millero 교수)
인간 활동으로 인한 이산화탄소 배출로 인한 해양 산성화 및 해양 생태계 영향
해양의 인위적 이산화탄소 흡수 역할
인간 활동으로 인한 질소 배출이 해양 질소 및 탄소 순환에 미치는 영향
북극해에서의 해양 디메틸설파이드(DMS) 생산 및 에어로졸 형성에 대한 영향
추적자(tracers)를 이용한 수계 내 탄소 및 영양염류의 생지구화학적 순환 연구
“황해 및 동중국해의 해양 질소계에 대한 인위적 질소의 영향”이라는 제목의 강연, AGU 가을 학회, 미국 샌프란시스코, 2019년 12월 9–13일
“생물학적 생산이 북서태평양 연안 산성화의 순 영향을 감소시킨다”라는 제목의 기조 강연, SOLAS 공개과학회의, 일본 삿포로, 2019년 4월 21–25일
“북태평양에서 증가하는 인위적 질산염 농도”라는 제목의 강연, 미국 몬터레이만 연구소, 2017년 7월 19일
“인위적 해양 화학 변화(탄소 및 영양염류)”라는 제목의 기조 강연, 제1회 한미 카블리 프런티어 과학 심포지엄, 한국과학기술한림원–미국국립과학원 공동 주최, 미국 캘리포니아 어바인, 2013년 8월 12–14일
“북서태평양 연안 해역에 남긴 인간의 흔적”이라는 제목의 기조 강연, 북태평양해양과학기구(PICES) 과학위원회 심포지엄, 일본 히로시마, 2012년 10월 12–19일
“산업화 이전 대비 해양 탄소 화학의 변화”라는 제목의 기조 강연,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 해양 산성화가 해양 생물 및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워크숍, 일본 오키나와, 2011년 1월 17–19일
“온대 바다에서 봄철 식물플랑크톤 증식 이후 과잉 탄소의 수출: 질소고정 미생물 매개 탄소 수출의 시사점”이라는 제목의 기조 강연, SOLAS 공개과학회의, 중국 샤먼, 2007년 3월 6–9일
미국 워싱턴대학교/태평양해양환경연구소 방문연구원, 미국 시애틀, 2009년 2월–12월
미국 마이애미대학교/RSMAS 해양·대기화학과 겸임 조교수, 2002–2009년
제2회 해양 내 CO₂ 국제심포지엄 세션 의장, 일본 쓰쿠바, 1999년 1월
NOAA/OACES(미국해양대기청 해양-대기 탄소교환연구) 북대서양 항해(북위 24도) 수석과학자, 1998년 1월 2일–2월 24일
마이애미대학교 학부 및 대학원 해양화학 강의 조교, 1993–1996년
사우스플로리다대학교 연구 조교, 1988–1991년
우승범
교수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Cornell University 졸업(박사/해안·해양공학 전공)
현)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교수
현) 경기인천씨그랜트센터 센터장
현) 해양수산부 해양교육문화심의위원회 위원
현) 행정안전부 지진·화산방재정책 전문위원회 위원
현) 인천광역시 해상풍력 만관협의회 공익위원
해양수산기술지역특성화사업을 기반으로 해양관측DB, 모델-AI예측 DB등을 융합하여 해양정보 자원 생성·연계 및 융봉합 정보제공 서비스 개발 진행
한국해양과학기술원과 공동으로 AI기반 해양예측 정확도 향상연구를 통해, 해양수치모델의 정확도를 딥러닝기반의 획기적으로 개선시키는 연구를 진행하여 효과를 증명
인천항만공사와 공동수행중인 연안 빅데이터플랫폼 및 센터구축사업을 통해 분절·분산되어 있는 해양안전 분야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융·복합을 통한 가치 창출, 데이터의 표준화 및 품질관리를 통한 데이터 가치 극대화하는 등 해양-IT기술 구현 역량 확보
인천해역의 3차원 해양수치모델 기반의 예보시스템을 시범구축하여 수온·조류·파랑에 대한 광범위한 빅데이터를 확보
지역 해양·항만 유관기관 및 산업체와의 네트워크를 활용한 맞춤형 인재양성
연안(공공분야) 정보와 해양산업 및 해양안전(민간분야) 정보 융합을 통한 AI-IT혁신서비스를 제공하여 해양-항만 분야 AI기술 적용 및 확산
임복순
원장
(사)한국국제크루즈연구원
한국국제크루즈연구원 원장
아시아크루즈리더스네트워크 사무총장
2018년 (사)한국국제크루즈연구원을 설립하여 현재까지 한국크루즈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일해 왔으며, 동북아크루즈시장 육성과 성장에 필요한 인프라구축과 협력등을 위해 일하고 있음. 아시아 크루즈 협의체인 아시아 크루즈 리더스 네트워크( ACLN: Asia Cruise Leaders Network)의 사무총장직을 수행하고 있음.
크루즈 산업, 동북아크루즈산업발전모델 개발 , 인재 양성
이철웅
교수
고려대학교 산업경영공학부
現 고려대학교 교수 및 AI 융합인재 양성단장
現 한국지식재산교육연구학회 회장
現 스마트SCM연구회 회장 및 한국SCM학회 수석부회장
現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경영대 연구교수
前 싱가포르국립대학교 교수 및 PSA 자문교수
이철웅은 서울대학교 산업공학과에서 학부와 석사과정을 마친 후 미국 Pennsylvania 주립대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캐나다 University of Waterloo에서 물류분야 Material Handling과 Warehousing 관련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싱가포르국립대 교수로 2000 ~ 2005년 재직하면서 PSA 항만과 싱가포르 창이공항의 물류자동화 및 물류최적화를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2005년 고려대학교 교수로 부임한 후 스마트항만과 항만자동화 연구를 인천항만공사, 부산신항만,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한진과 수행하였으며, 인천공항공사 및 한국공항공사와 스마트공항분야의 자문과 연구도 수행하였다. 최근의 연구는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분석 기술을 항만자동화와 스마트항만 연구에 접목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제러미 리프킨
이사장
워싱턴 경제동향연구재단(FOET)
제레미 리프킨(Jeremy Rifkin)은 경제 및 사회 이론가이자, 35개 언어로 번역된 23권의 베스트셀러 저자입니다. 그의 신간 『Planet Aqua: Rethinking Our Home in the Universe』는 현재 세계 주요 언어로 출간되었습니다. 리프킨은 유럽연합과 중국의 ‘제3차 산업혁명’ 전환 경제 계획을 설계한 핵심 인물이자,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해당 계획의 주도적 역할을 했으며, 찰스 슈머(Charles Schumer) 미국 상원 원내대표의 인프라 계획에도 자문을 제공했습니다. 그는 『허핑턴 포스트』의 전 세계 설문조사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목소리”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경제 사상가 10인 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습니다.
박희윤
개발본부장/전무
HDC 현대산업개발
한양대학교 도시개발경영학 석사
일본 와세다대학교 이공학술원 박사과정 수료
일본 모리빌딩 최초의 한국인 직원 (12년간 근무)
모리빌딩 도시기획 수석 컨설턴트 및 한국지사장 역임
2018 년 ~ 현재 HDC현대산업개발 개발본부 본부장 재직 중
용산 아이파크몰 리뉴얼
정선 파크로쉬 리조트 개발
광운대 역세권 개발
용산정비창 전면 1구역 복합개발
『도쿄를 바꾼 빌딩들』 (2024)
김주형
교수
국립군산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
2015.03 ~ 현재 국립군산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 교수(해조류 생리생태 및 연안생태복원 분야)
2022.03. ~ 현재 국립군산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장
2024.10. ~ 현재 바다숲 블루카본 전문가 협의체 자문위원(한국수산자원 공단)
2024.11. UNFCCC COP29 참석 및 바다숲 블루카본 분야 성과발표
김주형 교수는 전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해양학과에서 이학박사를 취득하였으며(2014년 2월), 연안 식생(해조류, 잘피, 미세조류)에 의한 탄소거동 연구와 이들의 기후변화(해양산성화 및 해양온난화)로 인한 생리생태학적 적응력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후 2015년 국립군산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에 ‘해조류를 이용한 연안생태계 복원’ 분야로 임용되어 관련 연구들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임용 이후 10년동안 해조류/잘피의 블루카본 분야, 외래침임 해조류 연구분야, 해조류 양식장의 산업적 문제 해결 분야, 대발생 해조류의 바이오매스 활용 연구 등 다양한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으며, 해조류 분야의 교육과 연구에 가장 앞장서고 있는 연구자이다. 특히 2021년 이후 바다숲의 탄소흡수력 연구를 시작으로 국내에서 블루카본 연구를 체계적으로 가장 활발히 수행하고 있다.
신형철
소장
극지연구소
1983. 3. ~ 1987. 2. 서울대학교 해양학 학사
1987. 3. ~ 1989. 2. 서울대학교 해양학 석사
1994. 8. ~ 2000. 12 Tasmania대학교(호주) 해양생태학 박사
2023.12 - 현재 극지연구소 소장
2020.10. – 2023.12. 극지연구소 부소장
2016.08.-2019.08. 극지연구소 정책협력부장
2012.05.-2016.08. 극지연구소 국제협력실장
2010.12.-2011.12. 남극세종과학기지 월동연구대장
2009.04.-2010.04. 극지연구소 생물해양연구부장
변화하는 북극해의 사회적 의미(Ambio 51호: 298-306)
기후변화에 주야 수직이동으로 반응하는 남극바다 동물플랑크톤(Scientific Report 9호: 10087) 등 21편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 비상임 이사(2025.03-)
한국해양학회 회장(2024.01-)
한국해양학회 부회장(2022.-2023.)
한국북극연구컨소시엄 사무총장(2017.-2019.)
북극연구 운영자 포럼(FARO) 부의장(2013.-2018.)
남극프로그램 국가운영자위원회(COMNAP) 부의장(2013.-2017.)
남극해양생물자원보존위원회(CCAMLR) 과학위원회 부의장(2005.-2006.)
2009.11 국무총리표창(쇄빙연구선 건조)
지난 리우
회장
로얄 캐리비안 크루즈 아시아
로얄 캐리비안 크루즈 아시아 회장
리우 박사는 2009년 로얄 캐리비안 인터내셔널(Royal Caribbean International, RCI)에 합류해 중국 시장에서 브랜드를 처음부터 구축하고 성장시키는 중책을 맡았습니다. 그의 주도 아래 RCI는 이후 10년간 사업 규모와 수익성 모두에서 빠르게 성장하며 경쟁사를 앞질렀고, 중국을 대표하는 선도 크루즈 브랜드로 자리매김했습니다. RCI의 성공은 팬데믹 이전 아시아 크루즈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에도 크게 기여했습니다.
리우 박사는 영국 왕립경제학회(Royal Economic Society) 회원, 영국 중국경제학회(Chinese Economic Association-UK) 회장, 북아시아 크루즈 산업협회(CLIA North Asia) 회장을 역임했으며, 중국 내 외국인 투자 유치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상하이 시 정부로부터 매그놀리아상(The Magnolia Award)을 수상했습니다.
히로히토 이토
소장/총괄이사
센트럴 컨설턴트 크루즈 연구소 및 디지털 전환
Central Consultant Inc., 크루즈 리서치 연구실 소장 및 디지털 전환 부서 총괄 매니저
일본의 미래 크루즈 수요 예측
전국 단위 크루즈 선박 기항의 경제적 영향 분석
차세대 크루즈 터미널 설계 가이드라인 작성
소형 선박을 활용한 크루즈 승객 수송 실증 실험
AI 자연어처리를 활용한 관광 수요 분석 등
Ito, H., Hanaoka, S. and Sugishita, K. (2022) ‘Structural changes in the cruise network by ship size in Northeast Asia’, The Asian Journal of Shipping and Logistics, Volume 38, Issue 4, December 2022, Pages 207-221.
Ito, H., Hanaoka, S. and Sugishita, K. (2023) ‘Seasonality of the global cruise industry’, Maritime Transport Research, Volume 5, December 2023, 100094
2019년 7월, 일본 국토교통성 산하 토지인프라관리기술연구소(NILIM)로부터 "일본 내 미래 크루즈 승객 수 추정을 위한 수리모형" 연구로 우수기술자상 수상
이토 히로히토 박사는 아시아 크루즈 산업의 발전에 기여해 온 주요 인물로, 정부, 항만, 연구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국제 크루즈 컨퍼런스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일본 정부 및 항만 당국을 대상으로 다수의 연구 과제를 주도해 왔으며, 주요 연구 분야는 크루즈 선박 수용 전략, 산업연관분석을 통한 경제적 파급효과 평가, 크루즈 시장의 미래 수요 예측 등이다.
최근에는 머신러닝 및 딥러닝과 같은 인공지능(AI) 기술을 크루즈 산업 분석에 통합함으로써 연구 범위를 확장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패턴을 발견하고 관계자들에게 실질적인 인사이트를 제공하고 있다.
그는 도쿄공업대학에서 공학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AIS 데이터를 활용한 크루즈 선박의 항만 선택 분석에 관한 논문으로 학위를 마쳤다. 이 연구는 기항지 결정에 영향을 주는 핵심 요소들을 밝혀내며 데이터 기반 해양연구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였다.
문일경
교수
서울대학교 산업공학과
2012년 3월 – 현재: 서울대학교 산업공학과 교수
2024년 – 현재: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
2023년 – 현재: European Journal of Industrial Engineering 편집장
2019년 – 2020년: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회장
1992년 – 2012년: 부산대학교 산업공학과 교수
1991년 – 1992년: 싱가포르국립대학교 의사결정과학과 조교수
문일경 교수는 서울대학교 산업공학과 교수로, 서울대학교에서 산업공학 학사 및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미국 콜럼비아 대학교에서 운영연구(Operations Research)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주요 연구 분야는 공급망 관리, 물류, 재고 관리 등이며, 국제 저명 학술지에 180편 이상의 논문을 게재하였습니다.
2019년부터 2020년까지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KIIE) 회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European Journal of Industrial Engineering의 편집장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또한 아시아태평양 산업공학·경영학회(Asia Pacific Industrial Engineering and Management Society) 펠로우이자, 국제생산연구연맹(International Federation for Production Research) 이사회 구성원으로 활동 중이며, 2024년에는 한국 최고 권위의 학술단체인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으로 선출되었습니다.
장영태
명예교수
인하대학교 아태물류학부
장영태 교수는 인하대학교 아태물류학부 명예교수로서, Global University 8 Consortium의 창립 사무총장, Asian Logistics Round Table(ALRT)의 창립 멤버, GREEN(Green Research and Education Network)의 회장을 역임하며 인하대학교의 국제 교육 및 연구 네트워크 구축에 핵심적인 역할을 해왔습니다.
국무총리 산하 국책연구기관인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원장을 역임했으며, 한국항만경제학회 회장으로도 활동하였고, 또한 미국 로드아일랜드 대학교(University of Rhode Island), 호주 태즈메이니아 대학교(University of Tasmania)에서 방문 연구원 및 겸임교수, 싱가포르 난양 이공대학(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에서 방문 MPA 교수, 스웨덴 세계해사대학교(World Maritime University)에서 방문 교수를 역임하며 국제적인 학술 활동 펼쳐왔습니다.
장 교수는 전 세계 여러 학술 행사에서 기조연설자 및 초청 연사로 활동해 왔으며, Maritime Economics & Logistics, International Journal of Logistics Management, Maritime Transport Research 등 국제 학술지의 편집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습니다. 또한 해운물류 및 일반 교통 분야 대부분의 국제 학술지 논문 심사를 수행하며, 해당 분야의 학문 발전에 지속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성우
선임연구위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해운물류‧해사연구본부
(전) 한미물류공급망센터(Center for Supply Chain & Maritime Logistics) 센터장(미국, 뉴저지)
(전)한국해양수산개발원 지역협력단 단장
(전)한국해양수산개발원 종합정책연구본부 본부장
산업부 경제자유구역위원회 민간위원
이성우 박사는 뉴저지시립대학교(NJCU) 공급망 및 해양물류센터의 설립자이자 전무이며,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선임연구위원으로서 항만물류연구본부장과 종합정책연구본부장을 역임한 바 있습니다. 그는 해운 관리 및 항만 배후단지 개발과 관련된 다양한 정부 프로젝트에 참여해 왔으며, 홍콩대학교 도시계획 및 환경관리센터에서 방문연구원으로 활동하기도 했습니다. 이 박사의 주요 연구 관심사는 국제 물류 및 해운 운송의 경영적·전략적 측면, 글로벌 공급망(GSC)을 기반으로 한 비즈니스 모델 구축, 북극 항로(Northern Shipping Route)와 관련된 북극 물류 시스템의 가능성 등입니다. 현재 그는 세계해운경제학회(IAME) 회원이자 학술지 『Sustainability』의 객원 편집위원이며, 대한민국 정부의 물류 분야 자문위원으로도 활약하고 있습니다. 주요 저서 및 논문으로는 『Ports in Proximity』, 『Shipping & Port Condition Changes and Throughput Prospects with Opening of the NSR』, 『Challenges of the Changing Arctic』 등이 있습니다. 물류인문학 베스트 셀러인 ‘나는 물류를 마실 때 커피를 마신다’의 저자이다.
고 푸아이 관
부교수
싱가포르국립대학교 경영대학 운영분석학과
2018년 1월 – 현재 : 부교수, 싱가포르국립대학교 비즈니스스쿨
2019년 7월 – 현재: 학술 디렉터, 스마트 산업 및 디지털 전환 석사 과정
2022년 6월 – 현재: 이사, Flyoro Technologies 이사회 (지속가능 항공 연료(SAF)의 현장 혼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
2018년 7월 – 현재: 자문위원, Log-hub AG (유럽, 미국, 아시아 일부 지역에서 운영 중인 스위스 기반 공급망 계획 소프트웨어 기업으로, SaaS 비즈니스 모델 사용)
푸아이관 고 교수는 싱가포르국립대학교 비즈니스스쿨의 부교수로, 석사 및 경영자 교육 과정에서 공급망 관리 및 기술 혁신 과목을 강의하고 있으며, 학제 간 석사 과정인 ‘스마트 산업 및 디지털 전환’의 초대 학술 디렉터이기도 합니다.
그는 프랑스 국립고등교량도로학교(École des ponts ParisTech)에서 Executive DBA 학위를, 싱가포르 테크놀로지 장학생으로 미국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경영과학 및 공학 석사와 전기공학 학사를 취득했습니다. 싱가포르국립대학교에 합류하기 전, 고 교수는 한국, 중국,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에서 다양한 고위 경영직을 역임하며 손익 책임을 맡아왔습니다. 2012년 국제청년회의소로부터 ‘비즈니스 및 기업가정신’ 부문 최우수 젊은 인재상 공로상을 수상했으며, 그의 경영 하에 바탐 인도 해운 및 물류는 2013년 아세안 비즈니스 자문위원회로부터 중소기업 성장 부문 아세안 비즈니스 어워드를 수상한 바 있습니다. 고 교수는 현재 국내외 언론의 자주 인용되는 전문가이자, 다양한 기업, 중소기업 및 기술 스타트업의 이사 또는 자문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습니다. 또한, 『Global Supply Chains in a Glocal World: The Impact of Covid-19 and Digitalization』(World Scientific, 2022)의 공동 편집자이며, 『Supply Chain Management: A Concise Guide』(Pearson, 2005, 2015)의 저자입니다.
젠중 거
교수
화둥사범대학교 연안 및 하구 연구 국가핵심실험실
2021-현재: 교수
2016-2020: 부교수
2015-2016: 박사후연구원, 미국 매사추세츠 대학교 다트머스 캠퍼스 해양과학기술대학
2012-2015: 조교수, 중국 화둥사범대학교 연안 및 하구 연구 국가핵심실험실 (SKLEC)
Ge Jianzhong 교수는 중국 화둥 사범대학 연안 및 하구 연구 국가핵심실험실(SKLEC)의 연구원으로, 주요 연구 분야는 연안 환경 역학, 해양 물리-생태학적 결합 메커니즘, 그리고 해양 수치 모델링을 위한 고성능 컴퓨팅입니다. Ge 교수는 중국 국가 자연과학기금(NSFC), 국가 주요 연구개발 프로그램을 비롯한 지방 및 부처 수준의 여러 연구 프로젝트를 이끌거나 참여하였으며, FVCOM 개발 팀의 핵심 구성원으로서 파도-조류 상호작용, 미세 응집성 퇴적물 수송, 커플러 개발 등 주요 모듈에 기여하였습니다. 또한, FVCOM-ERSEM 생지화학 모델을 공동 개발하고, 중국 해역과 양쯔강 하구를 위한 다중 규모 물리-생지화학 결합 모델링 시스템을 구축하여 이를 동중국해와 남중국해의 운영 예측 시스템에 적용하였습니다.
아담 소베이
총괄/교수
앨런 튜링 연구소 지속가능성 전략,
사우샘프턴 대학교 데이터 중심 공학
2025- 지속가능성 미션 디렉터, 앨런 튜링 연구소 (The Alan Turing Institute)
2023-2025 데이터 중심 공학 프로그램 디렉터, 앨런 튜링 연구소
2022- 데이터 중심 공학 교수, 사우샘프턴 대학교 (University of Southampton)
2019-2023 해양 및 해사 분야 리드, 앨런 튜링 연구소
2020-2022 부교수, 사우샘프턴 대학교
2018-2020 강사, 사우샘프턴 대학교
2014-2017 방문 연구원, 고성능 컴퓨팅 연구소 (Institute of High Performance Computing)
2015-2018 뉴 프론티어 펠로우, 사우샘프턴 대학교
2014-2015 연구 펠로우 (로이즈 레지스터 교육 재단 LRET), 사우샘프턴 대학교
2010-2013 연구 펠로우 (로이즈 레지스터 그룹LR / 국방부 선체 구조 전문 센터), 사우샘프턴 대학교
아담 소비 교수는 사우샘프턴 대학교 해양공학 그룹의 데이터 중심 공학 주임교수이자, 영국 국가 인공지능 및 데이터 과학 연구소인 앨런 튜링 연구소에서 지속가능성 미션 디렉터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또한, 항해 최적화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해양 산업 기업인 Theyr Ltd와 디지털 트윈 검증을 포함한 데이터 및 인공지능 신뢰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AQ Live에서 각각 비상임이사로 재직 중입니다.
그의 연구는 선박의 탈탄소화를 목표로, 공학 분야에 적용 가능한 강화 학습, 진화 계산, 기계 학습 알고리즘의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현재 여러 기업에서 활용 중인 여섯 가지 제품을 개발한 성과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2015년에는 복합 재료 선박의 구조적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로, 30세 미만 저자가 발표한 구조 분야 최우수 논문에 수여되는 영국 왕립조선학회 백점기(the Royal Institute of Naval Architects Jeom Paik award)상을 수상했습니다. 현재 그는 Data-Centric Engineering 학술지의 편집위원이자, Ship and Offshore Structures 학술지의 부편집장으로도 활동하고 있습니다.
마이클 고
회장
스타드림크루즈
2022 - 현재: 사장, 스타드림 크루즈
30년 이상 아시아 크루즈, 서비스, 여행 및 관광 산업에서 폭넓은 경력을 쌓아온 마이클은, 특히 아태지역(APAC)의 크루즈 부문에서 수많은 브랜드를 성공적으로 이끌며 새로운 도약을 이뤄냈습니다.
서비스 산업에서 커리어를 시작한 그는 2000년 크루즈 업계에 진출해, 스타 크루즈의 영업 및 마케팅 부문 부사장과 동시에 싱가포르 지사의 총지배인을 겸임하며 활약했습니다.
2008년에는 스타 크루즈의 국제 영업 수석 부사장으로 승진하며 활동 무대를 지역 차원으로 확장했으며, 이후 겐팅 크루즈 라인 산하의 드림 크루즈와 크리스탈 크루즈에서도 같은 직책을 맡아 활약했습니다.
2019년에는 드림 크루즈 사장으로 임명되어, 팬데믹 이후 싱가포르에서의 크루즈 운영을 성공적으로 재개하는 등 ‘아시아의 글로벌 크루즈 라인’으로서 브랜드의 새로운 성장을 이끌었습니다.
2022년 5월, 그는 싱가포르에 본사를 둔 신규 크루즈 기업 리조트 월드 크루즈의 사장으로 취임하며 중추적인 역할을 맡았습니다. 그의 선도적인 리더십 아래, 브랜드는 야심찬 성장 궤도에 올랐고, 주요 이정표들을 달성해 나가며 전략적 브랜드 전환과 기업 확장을 이끌었습니다. 이는 2025년 3월, 스타 크루즈와 드림 크루즈를 재도약시킨 스타드림 크루즈 브랜드의 성공적인 출범으로 이어졌습니다.
후 지화
교수
상해해사대학교 물류연구센터
중국 일대일로 및 빅데이터 배경 하 남중국해 해상운송경로의 공간 패턴 진화에 대한 전방위 모델링 및 실증 연구 (2019년 1월 1일 – 2022년 12월 31일)
중국 일대일로 및 빅데이터 배경 하 육해 복합 물류 경로 회복탄력성의 모델링 및 향상 전략에 관한 연구 (2023년 10월 18일 – 2025년 12월 31일)
컴팩트 지능형 물류 운영 시나리오에서의 시공간 격자 모델링 및 충돌 회피 전략에 관한 연구 (2023년 4월 1일 – 2026년 3월 31일)
“저탄소·지능형 완전 자동화 항만 핵심 기술 연구” 프로젝트 하의 세부 과제: “항만 에너지-생산 시스템 협업 스케줄링 기법 연구” (2023년 12월 – 2026년 11월)
대학원생, 학부생, 산업계 종사자를 위한 교재 『물류정보시스템』
연구서 『상하이 물류 빅데이터 연구 I』
SCI/SSCI 등재 영어 논문 약 17편, 중국어 논문 8편
물류 및 경영과학 전공 석사과정 학생 약 40명 지도
후지화(胡志华) 박사는 상하이해사대학교 물류연구센터의 연구원으로, 과거 IT 업계에서 소프트웨어 및 알고리즘 개발자, 프로젝트 매니저로 활동한 경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는 컨테이너 항만, 해운, 물류 분야에서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 응용을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통합 빅데이터·AI·복합운송 기반 항만 물류 시스템’ 분야에서는 항만 빅데이터, 인공지능, 대규모 언어모델을 기업과 협력하여 활용하고 있으며, 항만 물류 전 과정의 효율성 향상을 위한 대규모 데이터 모델링과 혁신적 방법론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또한 ‘주요 물류 회랑의 안전성과 지속가능한 발전’ 분야에서는 중국의 일대일로 이니셔티브, 육해 복합 물류 회랑, 복합운송 및 통합 교통체계를 기반으로, 빅데이터를 활용한 물류 경제지리 및 정책적 과제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후 박사의 이론 연구와 보고서는 주요 정부 부처와 중앙 국유기업에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고, 정책 자문 역할도 수행하고 있습니다.
소렌 길룬
총괄
오스테드 코리아 프로젝트 개발
2023 – 2025 프로젝트 디렉터, 인천 해상풍력 프로젝트, 오스테드 코리아(주)
2021 – 2023 기술 디렉터, 대만 그레이터 창화 2b&4, 오스테드 타이완(주)
2020 – 2021 계약 및 패키지 총괄 매니저, 그레이터 창화 해상풍력 0102a, 오스테드 타이완(주)
소렌 길룬(Søren Gyllun)은 재생에너지 분야의 상업 및 기술 전문가로서, 해상풍력 분야에서만 약 15년에 걸쳐 다양한 분야와 시장에서 풍부한 경험을 쌓아온 베테랑입니다. 2003년 석유·가스 산업에서 커리어를 시작한 이후, 20년 이상 전 세계 해상풍력 프로젝트와 산업 전반을 아우르며 활동해 왔습니다. 이러한 프로젝트 개발과 이해관계자 협의에 대한 깊은 전문성을 바탕으로, 현재 한국 인천 해상풍력 프로젝트에서 오스테드(Ørsted)의 프로젝트 개발 디렉터를 맡고 있습니다. 그는 전략 수립부터 실행, 공동 투자 요건의 관리, 그리고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기업 및 지역 목표와의 정렬에 이르기까지 해상풍력 프로젝트의 전 과정을 총괄하고 있습니다.
강여진
실장
인천항만공사 여객사업실
現 인천항만공사 여객사업실 실장
인천항만공사 물류전략처 물류기획팀 팀장
인천항만공사 마케팅실 실장
인천항만공사 홍콩사무소 소장
인천항만공사 여객사업실 강여진 실장은 인천항 크루즈, 한-중 카페리 및 연안여객 마케팅과 3개소의 여객터미널 운영을 총괄하고 있으며, 2006년부터 현재까지 인천항만공사에 재직 중입니다.
2011년 인천항 크루즈 사업 초기 단계 마케팅 및 입출항 지원 실무부터, 현재 인천항 모항 크루즈 활성화 전략 및 터미널 운영 총괄까지 모두 담당한 인천항 크루즈 전문가입니다.
2004년부터 현재까지 민간과 공공분야에서 컨테이너 화물 및 여객 마케팅과 항만 운영 활성화 업무를 주로 담당했으며, 2015년부터 3년간 인천항만공사 최초의 해외 사무소인 홍콩사무소 소장을 역임하였습니다.
학력은 The University of Hong Kong에서 MBA, 인하대학교 경영학 박사과정을 수료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