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7. 3(Thu) - 4(Fri) 송도 컨벤시아
기조연설
11:00 ~ 11:50
제러미 리프킨
이사장
워싱턴 경제동향연구재단(FOET)
세션 1
해운·물류 | 13:30 ~ 15:00
스마트한 결정, 탄력적 공급망
좌장
송상화
원장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세션 2
해양환경과 기후 | 13:30 ~ 15:00
해양환경 보존을 위한 미래방향, 극지와 블루카본
좌장
이기택
교수
포항공과대학교 환경공학부
세션 3
해양에너지 | 15:30 ~ 17:00
지능형 해양에너지 플랫폼 구축과 지역협력 생태계 조성
좌장
우승범
교수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특별세션
도시의 글로벌 경쟁력과 도쿄대진화 그리고 인천 | 15:30 ~ 17:00
세션 4
해양관광 | 10:00 ~ 11:30
동북아 크루즈 산업의 확장: 진정성, 지역협력, 지역 특색
좌장
임복순
원장
(사)한국국제크루즈연구원
세션 5
스마트 항만 | 10:00 ~ 11:30
AI와 미래 스마트 항만
좌장
이철웅
회장
한국지식재산교육연구학회
송상화
원장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2023년 ~ 현재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원장
2020년 ~ 현재 인천대학교 4단계BK21사업팀 팀장
네이버, 포스코DX 등 유통, 물류, SCM 분야 기업 자문 교수
송상화 교수는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의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IBM에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및 컨설턴트로 근무했다.
주요 연구분야는 물류 및 공급망 관리를 포함한 비즈니스의 디지털 전환이며, 수리적 최적화, 기계 학습, 데이터 분석 및 디지털 변환을 위한 전략적 프레임 워크 등의 활용에 집중하고 있다.
인천항만공사, 한국지역난방공사, 현대엠엔소프트,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한국도로공사, 해양수산개발원, SK, 현대제철 등과 산학 협력 과제를 수행하였다.
네이버, CJ대한통운, KOTRA, 현대제철, 홈플러스 등 민간 기업 자문 교수, 국토교통부 물류정책위원회 정책분과 위원, 국가모빌리티혁신포럼 물류분과위원 등을 맡은 바 있다.
2020년부터 "인공 지능과 디지털 플랫폼을 통한 크로스보더 유통 및 물류 혁신 리더 양성"이라는 주제로 교육부가 지원하는 4단계 BK21 사업팀을 이끌고 있다.
이기택
교수
포항공과대학교 환경공학부
마이애미대학교 해양대기과학대학원(RSMAS), 미국 플로리다주 마이애미 화학해양학 박사 (Ph.D.), 1992–1996 지도교수: Frank J. Millero 교수
논문 제목: Studies of the carbonate system in the oceans (해양 탄산염계에 대한 연구), 총 253페이지
사우스플로리다대학교, 미국 플로리다주 세인트피터즈버그 화학해양학 석사 (M.S.), 1988–1991 지도교수: William M. Sackett 교수
논문 제목: The high temperature titration of amorphous silica (비정질 실리카의 고온 적정), 총 62페이지
충남대학교, 대한민국 해양학 학사 (B.S.), 1982–1986
포항공과대학교 환경공학부 조교수, 부교수, 정교수, 2001년 8월 1일 ~ 현재
미국 국립해양대기청(NOAA)/ 대서양해양기후연구소(AOML) / 마이애미 CIMAS 연구원(Assistant Scientist), 1998년 10월 ~ 2001년 7월
NOAA/AOML/CIMAS 박사후연구원, 1997년 6월 ~ 1998년 9월 (지도자: Dr. Rik Wanninkhof)
마이애미대학교 RSMAS, 화학해양학 박사후연구원, 1996년 9월 ~ 1997년 5월 (지도자: Frank J. Millero 교수)
인간 활동으로 인한 이산화탄소 배출로 인한 해양 산성화 및 해양 생태계 영향
해양의 인위적 이산화탄소 흡수 역할
인간 활동으로 인한 질소 배출이 해양 질소 및 탄소 순환에 미치는 영향
북극해에서의 해양 디메틸설파이드(DMS) 생산 및 에어로졸 형성에 대한 영향
추적자(tracers)를 이용한 수계 내 탄소 및 영양염류의 생지구화학적 순환 연구
“황해 및 동중국해의 해양 질소계에 대한 인위적 질소의 영향”이라는 제목의 강연, AGU 가을 학회, 미국 샌프란시스코, 2019년 12월 9–13일
“생물학적 생산이 북서태평양 연안 산성화의 순 영향을 감소시킨다”라는 제목의 기조 강연, SOLAS 공개과학회의, 일본 삿포로, 2019년 4월 21–25일
“북태평양에서 증가하는 인위적 질산염 농도”라는 제목의 강연, 미국 몬터레이만 연구소, 2017년 7월 19일
“인위적 해양 화학 변화(탄소 및 영양염류)”라는 제목의 기조 강연, 제1회 한미 카블리 프런티어 과학 심포지엄, 한국과학기술한림원–미국국립과학원 공동 주최, 미국 캘리포니아 어바인, 2013년 8월 12–14일
“북서태평양 연안 해역에 남긴 인간의 흔적”이라는 제목의 기조 강연, 북태평양해양과학기구(PICES) 과학위원회 심포지엄, 일본 히로시마, 2012년 10월 12–19일
“산업화 이전 대비 해양 탄소 화학의 변화”라는 제목의 기조 강연,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 해양 산성화가 해양 생물 및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워크숍, 일본 오키나와, 2011년 1월 17–19일
“온대 바다에서 봄철 식물플랑크톤 증식 이후 과잉 탄소의 수출: 질소고정 미생물 매개 탄소 수출의 시사점”이라는 제목의 기조 강연, SOLAS 공개과학회의, 중국 샤먼, 2007년 3월 6–9일
미국 워싱턴대학교/태평양해양환경연구소 방문연구원, 미국 시애틀, 2009년 2월–12월
미국 마이애미대학교/RSMAS 해양·대기화학과 겸임 조교수, 2002–2009년
제2회 해양 내 CO₂ 국제심포지엄 세션 의장, 일본 쓰쿠바, 1999년 1월
NOAA/OACES(미국해양대기청 해양-대기 탄소교환연구) 북대서양 항해(북위 24도) 수석과학자, 1998년 1월 2일–2월 24일
마이애미대학교 학부 및 대학원 해양화학 강의 조교, 1993–1996년
사우스플로리다대학교 연구 조교, 1988–1991년
우승범
교수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Cornell University 졸업(박사/해안·해양공학 전공)
현)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교수
현) 경기인천씨그랜트센터 센터장
현) 해양수산부 해양교육문화심의위원회 위원
현) 행정안전부 지진·화산방재정책 전문위원회 위원
현) 인천광역시 해상풍력 만관협의회 공익위원
해양수산기술지역특성화사업을 기반으로 해양관측DB, 모델-AI예측 DB등을 융합하여 해양정보 자원 생성·연계 및 융봉합 정보제공 서비스 개발 진행
한국해양과학기술원과 공동으로 AI기반 해양예측 정확도 향상연구를 통해, 해양수치모델의 정확도를 딥러닝기반의 획기적으로 개선시키는 연구를 진행하여 효과를 증명
인천항만공사와 공동수행중인 연안 빅데이터플랫폼 및 센터구축사업을 통해 분절·분산되어 있는 해양안전 분야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융·복합을 통한 가치 창출, 데이터의 표준화 및 품질관리를 통한 데이터 가치 극대화하는 등 해양-IT기술 구현 역량 확보
인천해역의 3차원 해양수치모델 기반의 예보시스템을 시범구축하여 수온·조류·파랑에 대한 광범위한 빅데이터를 확보
지역 해양·항만 유관기관 및 산업체와의 네트워크를 활용한 맞춤형 인재양성
연안(공공분야) 정보와 해양산업 및 해양안전(민간분야) 정보 융합을 통한 AI-IT혁신서비스를 제공하여 해양-항만 분야 AI기술 적용 및 확산
임복순
원장
(사)한국국제크루즈연구원
현) 원장 (사)한국국제크루즈연구원
현) 사무총장 ACLN(ASIA CRUISE LEADERS NETWORK)
현) 편집장 Cruise Industry Review(CIR) 크루즈영문지
현) 부회장 세계관광도시연맹[World Tourism Cities Federation Hills Tourism Summit (WTCF)] 크루즈산업위원회
전) 부교수 남경금심대학교 관리학부
현재 아시아크루즈협의체 ACLN(ASIA CRUISE LEADERS NETWORK) 사무총장직을 수행하고 있으며, 2018년 (사)한국국제크루즈연구원을 설립하여 아시아 크루즈 시장의 성장과 협력에 필요한 인프라 구축 실현과 한국 크루즈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활동하고 있으며, 상해, 청도, 대련, 대만, 제주, 인천 등에서 크루즈 전문위원 및 기관 부회장 등의 직무를 수행하고 있다.
이철웅
회장
한국지식재산교육연구학회
現 고려대학교 교수 및 AI 융합인재 양성단장
現 한국지식재산교육연구학회 회장
現 스마트SCM연구회 회장 및 한국SCM학회 수석부회장
現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경영대 연구교수
前 싱가포르국립대학교 교수 및 PSA 자문교수
이철웅은 서울대학교 산업공학과에서 학부와 석사과정을 마친 후 미국 Pennsylvania 주립대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캐나다 University of Waterloo에서 물류분야 Material Handling과 Warehousing 관련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싱가포르국립대 교수로 2000 ~ 2005년 재직하면서 PSA 항만과 싱가포르 창이공항의 물류자동화 및 물류최적화를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2005년 고려대학교 교수로 부임한 후 스마트항만과 항만자동화 연구를 인천항만공사, 부산신항만,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한진과 수행하였으며, 인천공항공사 및 한국공항공사와 스마트공항분야의 자문과 연구도 수행하였다. 최근의 연구는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분석 기술을 항만자동화와 스마트항만 연구에 접목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제러미 리프킨
이사장
워싱턴 경제동향연구재단(FOET)
제레미 리프킨(Jeremy Rifkin)은 경제 및 사회 이론가이자, 35개 언어로 번역된 23권의 베스트셀러 저자입니다. 그의 신간 『Planet Aqua: Rethinking Our Home in the Universe』는 현재 세계 주요 언어로 출간되었습니다. 리프킨은 유럽연합과 중국의 ‘제3차 산업혁명’ 전환 경제 계획을 설계한 핵심 인물이자,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해당 계획의 주도적 역할을 했으며, 찰스 슈머(Charles Schumer) 미국 상원 원내대표의 인프라 계획에도 자문을 제공했습니다. 그는 『허핑턴 포스트』의 전 세계 설문조사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목소리”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경제 사상가 10인 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습니다.